기구학(機構學, Theory of Mechanism) 이란?
- 기계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구성 및 짜임새, 그 기능에 관란 이론을 다루는 학문.
- 기계를 이루는 구성물이 상대운동할 때의 성질을 이해, 연구하여 기계의 설계에 활용하기 위한 학문.
- 두 위치 사이에서 좌표를 변환 하는 계산법.
- 공간 기하학을 바탕으로 정립됨.
- 2차원의 기하학 연산과 달리, 3차원의 기하학 연산은 계산하는 것이 매우 힘듬.
☞ 순기구학(정기구학) : 기준점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
(순서 : 기준-1-2-3-목표)
- 추론적, 모션 제작&제어에 불합리
- 반드시 해가 존재함
- 다관절 로봇의 경우, 각 조인트의 Encoder Sensor에 의해 확인 가능.
- 1,2,3의 순서로 Encoder 각도 값으로부터 위치와 자세를 얻음.
☞ 역기구학 : 끝점의 위치를 먼저 결정하고, 기준점까지 역 방향으로 결정하는 방식
(순서 : 목표-3-2-1-기준)
- 직관적, 연산과정이 복잡하고 여러움
- 여러개의 해가 존재할 수도있고, 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.
- 역기구학 계산을 통해 목표 좌표계 값으로부터 좌표계 각도 값을 계산.
※ 연산 불능
- n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결정된 구조는 작업 범위가 형성됨. (Ex : 다관절 로봇)
- 결정한 끝점이 작업 범위를 벗어나면 연산 불능 발생.
- 연산 불능 발생시, 동작을 하지 않거나, 가장 가까운 회전을 구한다.
- 솔루션 : 작업범위를 다시 고려하여 재설계
※ 연산 부정
- 또한, 끝점의 위치와 회전을 만족하는 중간 지점이 너무 많을 때 발생 (불필요한 자유도)
- 최소, 최적의 관절 수를 결정해야 함
- 솔루션 : 제약 사항 추가, 관절 및 구조 재설계
'기계설계 자격증, 공부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일반기계기사 ] 기계 열역학 요점 정리-2 (0) | 2021.12.23 |
---|---|
[ 일반기계기사 ] 기계 열역학 요점 정리-1 (0) | 2021.12.23 |
PLC란 무엇인가? PLC의 기초 (0) | 2021.12.22 |
유압이란? 유압 이론 기초 (0) | 2021.12.20 |
기계설계 자격증 종류 및 추천 (0) | 2021.12.17 |
댓글